
유방의 트러블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
증상은 멍울이나 부종으로 인한
통증과 유선염입니다.
유방의 트러블은 모유 부족,
아기의 성장 부진 등의 원인을 제공하므로
전문의의 지시에 따르도록 하세요.
멍울・부종
멍울이나 부기가 느껴지면
먼저 올바른 안기와 젖 물리는 방법으로
자주 수유를 해주세요.
수유 후, 수유와 수유 사이에 젖을 짜내어
멍울이나 부기를 가라 앉히는
방법도 있습니다.
멍울 부분이 화끈거리더라도
젖을 짜내면 낫는 경우가 많습니다.
유선의 멍울을 방치하면 유선염으로
될 우려가 있기에 유의해야 하며
또한 아기가 갑자기 모유 수유를 거부한다면
유선염의 전조일 수도 있습니다.
유선염
유선염은 통증, 발열 (38.5℃ 이상), 부종,
오한, 인플루엔자와 같은 몸살,
전신성 질환을 동반하는 유방의 질병입니다.
유선염은 산후 2~3주에 가장 발생하기
쉽다고 하지만, 수유 중 어느 시기에나
발생할 수 있습니다.
유선염은 세균 감염성과 비감염성
두 가지로 분류됩니다.

울체성 유선염
울체성 유선염(비감염성 유선염)은
세균 감염에는 이르지 않았으나
유방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을 말합니다.
일반적으로 한 쪽 유방의 국소에
부종, 멍울, 화끈거림 등이 있으며
전신에 미열이 생기기도 합니다.
유즙이 막힘없이 잘 나오도록
올바르게 안는 방법과 젖 물리는 방법으로
수유해 보세요.
급성 화농성 유선염
울체성 유선염 증세가 나타난 후
24시간 이내에 상태가 개선되지 않고
발열이나 오한, 몸살 등 인플루엔자와 같은
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세균에 감염이
되었을 수도 있습니다.
심한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를 권장하는
경우도 있으니, 상태에 진전이 없다면
전문의와 필수로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